본문 바로가기

Insights2

컴퓨터에서의 실수 표현인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조사 내용 고정 소수점, 부동 소수점 고정 소수점의 표현 방식 고정 소수점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해 그 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제일 앞자리는 변환한 숫자의 부호를 나타내고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이다. 소숫점을 다 채웠을 시에 그 뒤는 0으로 채운다. 고정 소수점 방식은 이용하는데 편리하지만, 정확한 수치를 측정하는데는 어렵다. 부동 소수점의 표현 방식 부동 소수점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해 그 수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몇개의 과정을 거친다. 정규화 - 101.101을 1.01101 x 2*2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 정수부에 1만 남을떄 까지 반복 소수점을 뒤로 계속해서 이동하는것을 보고 부동 소수점이라 이름을 지은걸로 추측을 해볼 수 있다. 부동 소수점 표기 방법도 역시 제.. 2024. 3. 25.
Python 에서의 round 함수의 동작원리 Python에서 round메서드 안에 2.5라는 값을 넣으면 round(2.5) 어떤 값이 나올까? 놀랍게도 3이 아닌 2라는 수가 나온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생긴 의문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백준 18110번 solved.ac 문제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했지만, 틀렸다는 결과를 받았음. 구현 코드(오답) N = int(input()) if N == 0: print(0) else: lst = [] s = round(N*15/100)# N의 15%의 값을 반올림 e = N-s# N의 85%의 해당하는 값을 반올림 # print(s) # print(e) for _ in range(N): lst.append(int(input())) lst.sort()# 값을 넣고 정렬한다. print(rou.. 2024.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