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
www.acmicpc.net
답안
def dfs(r, c):
global apt_lst
ST = []
ST.append((r, c)) # 들어온 값 ST에 삽입
visited[r][c] = 1 # 방문처리
cnt = 1 # 들어왔으면 apt가 1개니까 1부터 시작
while ST:
vr, vc = ST.pop()
for dr, dc in [(0, 1), (0, -1), (1, 0), (-1, 0)]: #델타를 이용해 주변 확인
newR = dr + vr
newC = dc + vc
if 0 <= newR < N and 0 <= newC < N and not visited[newR][newC] and lst[newR][newC]:
visited[newR][newC] = 1 # 범위 안이고, 방문하지않고, lst에 값이 있으면
ST.append((newR, newC)) # 방문처리 후, ST에 newR,newC값 삽입
cnt += 1 # 아파트 갯수 + =1
apt_lst.append(cnt) # 반복문을 나오고 난 후 아파트의 갯수를
# apt_lst에 삽입
N = int(input())
lst = [list(map(int, input())) for _ in range(N)] # 아파트 리스트
visited = [[0] * N for _ in range(N)] # 방문체크 리스트
apt_lst = [] # 연결된 단지 갯수를 담을 리스트
num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lst[i][j] and not visited[i][j]: # i,j에 값이 있고 방문한적이 없을때만
dfs(i, j) # dfs함수 호출
num += 1 # 호출할때마다 num += 1
print(num)
apt_lst.sort() # 오름차순 후 출력
for i in apt_lst:
print(i)
후기
dfs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문제를 풀어보았다.
처음에는 dfs, bfs 기초문제도 어려웠는데... 이젠 응용문제만 익숙해지면 될 것같다.
변수를 잘 이용해서 원하는 값을 잘 받아오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지금 나는 너무 틀에박힌 코드만 짜고 있다는게 느껴진다,,,,
응용하기 위해선 코잘알 형님들의 코드를 보고 배워야겠다,,,, ㅠㅅㅠ
'파이썬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35번 - 수 이어가기 (파이썬/Python) (0) | 2024.03.08 |
---|---|
백준 2669번 - 직사각형 네개의 합집합의 면적 구하기 (파이썬/Python) (0) | 2024.03.07 |
백준 13305번 - 주유소 (파이썬/Python) (2) | 2024.03.05 |
백준 2869번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파이썬/Python) (0) | 2024.03.04 |
백준 2217번 - 로프 (파이썬/Python) (0) | 2024.03.03 |